Surprise Me!

[다시 간다]안전 규정도 없이…‘집라인’ 우후죽순

2021-11-16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지난주 평창에서 집트랙을 타던 30대 여성이 숨지는 등, 관광지에 설치된 이런 놀이 시설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어찌 보면 놀이기구보다 위험해보이지만, 안전 기준도 제대로 없다는데요. <br> <br>다시 간다, 우현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탑승객들이 바람을 가르며, 빠른 속도로 내려갑니다. <br> <br>그러다 1분도 채 안 돼 도르래가 멈춰 섰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어? 어? 기다려야 하네." <br> <br>60m 높이에서 오도가도 못하게 된 탑승객은 잔뜩 겁에 질렸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119 좀 부르면 안 되나? 미치겠다. 공황이 온다…" <br> <br>안전요원이 도착하는 데는 1시간 반이 걸렸습니다. <br><br>국내 최장인 길이 3.2km, 경남 함양의 집라인 시설에서 멈춤 사고가 발생한 건 지난 6월입니다. <br><br>[집라인 사고 피해자] <br>"대비책이 없었던거죠. 제 친구는 (앞으로) 절대 안탄다고 하더라고요" <br> <br>탑승 무게가 130kg으로 제한돼 있었는데, 남성 2명이 함께 타 무게 제한을 넘기면서 오작동 한 겁니다. <br><br>"지난 6월 집라인 멈춤 사고가 있었던 경남 함양의 관광휴양시설입니다. 지금은 어떤 안전조치가 이뤄졌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."<br><br>문제가 됐던 도르래는 탑승자 무게의 3배까지 견딜 수 있는 것으로 교체됐습니다. <br> <br>[김영수 / 경남 함양군 관계자] <br>"L자 도르래, S, M 3가지로 나눠집니다. (차이가 무엇인가요?) 감속 차이입니다. 속도를 많이 줄이고, 이건 덜 줄이고" <br> <br>사고 당시엔 구조 요원이 직접 케이블로 올라갔지만, 현재는 기계가 접근해 조치하는 방식으로 변경됐습니다. <br> <br>[김영수 / 경남 함양군 관계자] <br>"당시에는 이런 장비가 미흡해서 인력으로 가서 구해오는 방법이었는데… 사람이 출동하는 시대는 아닙니다." <br> <br>하지만, 집라인 시설의 안전 시설은 업체마다 제각각입니다. <br> <br>현행법상, 지정된 놀이기구가 아니어서 안전시설 설치 기준도 마련돼 있지 않다보니, 정부나 지자체에서 규제할 방법이 없습니다. <br> <br>[송창영 / 광주대 건축공학과 교수] <br>"축구를 하려면 축구 룰이 있어야 되는 것처럼, 관련된 법이나 매뉴얼이 있어야 중앙정부나 지자체에서 감독을 하는데…" <br> <br>집라인과 유사한 집트랙와 집코스터도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. <br><br>집라인은 와이어를, 집트랙이나 집코스터는 철제 레일을 타고 내려오는 것입니다.<br> <br>그런데, 지난주 평창에선, 집트랙을 타고 빠르게 내려오던 30대 여성이 5m 높이에서 추락해 숨진 것을 비롯해 관련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전남 여수 집코스터 시설에선 탑승객이 하강하던 도중 갑자기 멈추는 사고가 지난달에만 2차례 발생했습니다. <br> <br>탑승객들은 30분 넘는 시간을 8m 높이의 허공에 매달려 있어야 했습니다.<br> <br>사고 한달만에 찾은 전남 여수의 집코스터 시설은 여전히 정상 운영중이었습니다. <br> <br>상하 좌우로 요동치는 스릴을 주는 것이 특징인데, 취재진이 직접 타본 결과, 빠른 속도로 내려가다가 갑가지 멈춰섰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멈췄다! 멈췄다!" <br> <br>탑승한 채로 몸을 앞뒤로 움직이며 20여 초간 안간힘을 쓰자 도르래는 다시 움직였습니다. <br> <br>[전남 여수 ○○관광휴양시설 관계자] <br>"멈춘 곳이 살짝 경사가 일직선인데… 바람이 맞바람이 쳐버리면 저희가 당겨도 안갈 수가 있어요. (다음은) 세게 밀어봐야지"<br> <br>건물 24층 높이에서 하강하는 인근의 또다른 집라인 시설. <br> <br>안전요원은 헬멧이나 로프 같은 안전장치를 갖추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김의수 / 한국교통대 안전공학과 교수] <br>"시설 사용법도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… 안전요원에 대한 교육, 자격, 훈련 등에 관한 전반적인 세부지침 마련이 시급합니다." <br> <br>국민체육진흥공단이 1년에 한번 50곳 정도를 '표본조사'하고는 있지만, 전국에 집라인이나 집코스터가 몇곳인지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<br>특히 최근 4년간의 표본조사에서 '이용 제한' 또는 '수리 필요' 권고를 받은 곳이 67% 나 됐습니다.<br><br>관련법은 계속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는 상황에서, 안전 규정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. <br> <br>'다시 간다' 우현기입니다. <br><br>PD : 윤순용 <br>AD : 권용석 <br>작가 : 박정민 <br>자료출처 : 김도읍 의원실<br /><br /><br />우현기 기자 whk@donga.com

Buy Now on CodeCanyon